-
최근 공유킥보드 등 전동킥보드 운전이 사회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대형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그러함에도 편의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출퇴근용으로 직장인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전동킥보드를 탈 경우 반드시 보험사에 알려야 할 보험계약 후 알릴 의무에 대해 상세히 준비하였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고 나면 당신이 놓치고 있던 보험계약 시 중요한 고지의무를 알게 될 것입니다.
전동킥보드 사고 보험계약 후 알릴 의무
이 씨는 직장동료 김 씨가 출퇴근용으로 타고 다니는 전동킥보드가 좋아 보여서 본인도 출퇴근용으로 구매하였습니다. 전동킥보드를 이용하니 교통비도 아끼고 시간 절약도 되어 이 씨는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평소와 같이 전동킥보드를 타고 출근을 하는 중 뒤에 오는 박 씨의 자동차가 이 씨를 보지 못하고 그만 사고가 나고 말았습니다.
사고가 난 이 씨는 병원으로 이송하던 중 과다출혈로 사망하게 됩니다. 이에 손해보험에 가입되어 있던 이 씨의 유족들은 보험사에 사망보험금 청구를 합니다. 그런데 보험사에서는 보험금 지급 처리 거절을 하였습니다. 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요?
실제로 과거 위 예시와 비슷한 안타까운 사건이 있었습니다. 해당 사건은 보험사와 법정소송까지 갔습니다. 1심에서는 보험사에서 보험금을 지급 처리 해야 한다는 판결이 났지만, 2심에서는 보험금을 지급 처리할 필요가 없다는 판결을 하였습니다.
왜냐하면 2심 법원에서는 이 씨가 보험 계약 후 알릴 의무 위반 사항에 해당하기 때문에 유족에게 보험금 지급 처리를 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손해보험-약관-상해보험-계약-후-알릴-의무 손해보험 약관 중 '상해보험 계약 후 알릴 의무'에 따르면 보험기간 중 '이륜자동차 또는 원동기장치 자전거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게 된 경우' 보험사에 즉시 알리게 되어 있고, 알리지 않을 경우 보험금 지급 처리 불가 및 계약 해지까지 될 수 있습니다.
이 씨가 출퇴근용으로 타고 다닌 전동킥보드(전동휠 포함)는 자동차관리법 및 도로교통법에 따라 이륜자동차 또는 원동기장치 자전거로 분류되고, 면허 역시 소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약관의 '계속적으로 사용하게 된 경우'는 출퇴근, 직업 및 직무, 동호회 활동 등을 위해 계속적으로 사용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씨의 경우 전동킥보드를 타고 정기적으로 출퇴근을 하였기 때문에 계약 후 알릴 의무 약관에 해당된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보험계약 시 이러한 내용을 설명받지 못한 경우도 많습니다. 위 안타까운 사건의 유족 역시 이점을 근거로 보험금을 지급 처리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법원의 판단은 달랐습니다. 이 씨가 보험계약 시 자필 서명을 한 점을 근거로 보험사의 손을 들어준 것입니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다른 판례 중 보험사는 이륜자동차 및 원동기장치 자전거의 상세 유형까지 설명할 필요가 없다는 판례 또한 있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출퇴근, 직업 및 직무, 동호회 활동 등을 위해 계속적으로 전동킥보드 및 전동휠을 타면서 보험사에 알리지 않아 사고가 날 경우 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비정기적으로 가끔 전동킥보드 및 전동휠을 타는 경우도 보험사에 알려야 하는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비정기적으로 타는 경우는 보험사에 알리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장애인, 어르신 등 교통 약자들이 사용하는 의료용 스쿠터, 전동휠체어 등을 정기적으로 사용할 경우도 보험사에 알리지 않아도 됩니다. 왜냐하면 교통약자가 사용하는 의료용 스쿠터, 전동휠체어 등은 이륜자동차 또는 원동기장치 자전거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동킥보드 및 전동휠 등 이륜자동차 또는 원동기장치 자전거 외에도 '보험증권상 직무 또는 직업의 변경, 피보험자의 운전목적 변경, 비운전자가 운전을 할 경우 등'이 보험 계약 후 알릴 의무에 해당합니다. 참고로 현재는 손해보험 약관에서만 이륜자동차 또는 원동기장치 자전거를 계속적으로 탈 경우 보험사에 알리게 되어있습니다. 생명보험 약관의 경우는 알릴 의무로 주소변경, 보험금 지급사유 등만 포함되고 전동킥보드 등에 대해서는 보험 계약 후 알릴 의무 약관에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당신이 '이륜자동차 운전 중 상해 부보장 특별약관'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해당 특별약관에 가입되어 있다면 출퇴근, 동호회 활동, 직업 및 직무 등의 계속적인 활동을 하다가 사고가 난 경우 보상받지 못합니다. 이 특별약관은 이륜자동차 및 원동기 자전거를 사용하는 동안 상해보험 담보를 보장하지 않는 특약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보험사에서 출퇴근, 동호회 활동, 직업 및 직무 활동 용도로 사용했다는 것을 입증하지 못하면 해당 특약과 상관없이 보험금을 지급하게 되어있다는 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마치며
오늘은 전동킥보드 사고 보험 계약 후 알릴 의무 위반 사항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저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병자보험과 같은 보험의 계약 전 알릴 의무에 대해서만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계약 후 알릴 의무도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이 글을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정리하자면 전동킥보드 및 전동휠을 이용한 출퇴근, 동호회 활동, 직무 및 직업 등 활동을 정기적으로 할 경우 반드시 보험사에 계약 후에도 알려야 합니다. 만약 보험사에 통지하지 않을 경우 통지의무 위반에 해당되어 보험금 지급 및 보험계약이 해제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는 손해보험에서만 해당 약관을 적용하고 있으며, 만약 당신이 '이륜자동차 운전 중 상해 부보장 특별약관'에 가입되어 있다면 사고가 나도 보상받지 못하기 때문에 특별약관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참고문헌 : 보험금 HOW(저자 윤용찬), 보험 아는 만큼 요긴하다(저자 전혜영)
'보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원일당보장 보험 가입 비싼 보험료 해결방법 3가지 (0) 2025.01.17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연령별 필수보험 완벽정리 (0) 2025.01.16 창상봉합술 상해수술비 청구 완벽정리 (0) 2024.09.05 유병자보험 고지의무 완벽정리 (0) 2024.07.17 보험사 추천 나에게 맞는 곳 선택방법 (0) 2024.07.14